아름다운 시의 정의가 무엇인지 모를 수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아름다운 시를 읽었을 때 그 아름다움을 못 느끼는 것은 아니다! 수학을 몰라도 재미가 넘치는 드라마 '넘버스'

블록버스터에 제작비가 수억 달러씩 들어가는 것은 이제는 그다지 놀랄 만한 일도 아니다. 하지만 그러고도 망하는 블록버스터 영화가 안 그런 영화보다 훨씬 더 많다. 재미있게 만들고도 칭찬 받기가 쉽지 않고, 못하면 단단히 망신살만 뻗치는 것은 블록버스터의 운명이다. 반면에 아이디어와 구성의 탄탄함이 제작비보다 훨씬 더 눈에 띄고 이슈가 되는 작품들도 많이 있다. 저런 소재로 어떻게 얘기를 이끌어낼 수 있을까 싶어서 위험천만해 보이면서도 본때를 보여주는 그런 작품이 이 경우다.

 

 

 

 

과학 수사물의 변주에 이제 하다하다 못해 수학까지 끌어들이다니요. CBS의 '넘버스'는 과학 수사물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 미국 최대의 방송사인 CBS가 단단한 자기 과신에 빠져들었으며, 잘 팔리는 재료에 양념 구성만 약간 바꾸어 쉽게 팔아먹겠다는 매너리즘에 극도로 빠져 있음을 증명하는 사례일까? 그렇게 생각한다면 완전히 넘겨짚는 것이다.

 

'에어디쉬 번호 ∞', 즉 수학과는 담 쌓고 지내는 시청자들까지 빨아들이는 '넘버스'의 흡입력은 놀랍고도 또 놀랍다. 오프닝 크레디트에 나오는 '우리는 매일 수학을 사용하며 살아갑니다. 날씨를 예측하고 시간을 알아보고 돈을 다루기 위해서'라는 독백이야 수긍하지 못할 바가 전혀 없지만, 우리는 인간의 행동과 인간 사이의 일을 숫자로 해석하고 나타낸다는 것이 언뜻 와 닿지 않는 세계에 살고 있는 게 사실 아닌가.

 

수학과 우리 절대 대다수의 사람들 사이에는 괴리가 있다. 요컨대 절대 대다수의 사람들은 수학이 어렵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또 G. H. 하디가 말했다지 않나? '우리는 아름다운 시의 정의가 무엇인지 모를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아름다운 시를 읽었을 때 그 아름다움을 느끼지 말란 법은 없다'고!

 

아름다운 음악을 들었는데, 그 아름다움에 대해 무엇이라고 정의를 내릴 수 없다고 해서 아름답다고 느끼지 말라는 법은 없는 것이다. 그런 시적인 아름다움과 우아함이 '넘버스'에 존재한다. 단순히 공식과 방정식을 넘어선 논리와 이성이라는 수학의 세계, 종종 마주치곤 하는 인문학적 궤변의 세계에서 벗어나 정신을 이용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의 가장 큰 신비에 침잠해 보는 안도감이랄까 하는 것이 '넘버스'에는 있다. 드라마에서 나오는 정수론과 방정식을 대부분 이해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넘버스'는 숫자의 아름다움을 충분히 전달해 주고 있다. 심지어 이 드라마에는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과 반대되는 이론이 적용된다고 주장하는 시청자들마저 있는 것이다!

 

 

'넘버스' 타이틀 시퀀스! "우리는 매일 수학을 사용하며 살아갑니다!"

 

 

뭐, 모르는 게 약인 경우에 해당된다는 주장이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드라마가 수학적으로 리얼리티가 허투루라거나 하는 뜻은 절대 아니다. 칠판 위에 가득 휘갈겨져 있는 방정식은 그럴듯한 소품이 아니라 자문을 거친 진짜이며, 에피소드에 나오는 사건에 분명히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 FBI 요원인 형 돈 엡스와 수학 신동에서 세계적인 명망을 얻는 천재로 거듭난 동생 찰리 엡스가 인간의 행위, 특히 범죄 행위를 수학을 통해 통역하려고 한다.

 

이 드라마는 잘되는 드라마의 특징 가운데 하나, 바로 캐릭터의 완성도를 갖추고 있다. 형제의 아버지까지 포함한 엡스 가족은 얼마 전에 어머니를 잃고 애틋하고 정감 어린 가족애를 보여준다. '앨리 맥빌'의 괴짜 변호사 존 케이지를 맡았던 피터 맥니콜은 물리학자이자 찰리의 동료 래리 플린하르트로 나오는데, 존 케이지에서 그다지 변모하지 않았음에도 기이할 만큼 질리지 않는 연기를 선보이는 캐릭터로 등장한다.

 

 

 

 

수사 드라마이기는 하지만, 중심인물들이 엡스 가족이기 때문에 돈 엡스의 FBI 동료들은 존재감이 그다지 강하게 그려지지는 않는다. 도시계획가 출신이자 최근에 아내를 잃은 슬픔을 가슴에 묻고 살며 1970년대의 이상주의자였던 아버지 앨런 엡스와 '정부의 앞잡이' 큰 아들 돈 엡스, (거의) 오로지 숫자만을 사랑하는 막내 찰리 엡스, 이렇게 삼부자가 1900년대 초반에 유행했다던가 하는 크래프츠먼 스타일의 멋진 집에서 알콩달콩 하는 모습이 흐뭇하기 그지없다.

 

여배우 살인미소 1위가 '앨리어스'의 제니퍼 가너라면, 남자배우 1위에 등극하고도 남을 돈 엡스의 가히 판타스틱한 미소와 더불어, 리들리 스콧과 토니 스콧이라는 영화감독 형제가 제작한 이 드라마에서 그리는 형제간의 관계도 어느 것 하나 과장하는 것 없이 참으로 섬세하게 다뤄진다.(동생인 토니 스콧 감독은 뇌종양 발병으로 실의에 빠졌다가 작년인 2012년에 투신으로 운명을 달리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슬픔을 안겨주었다.)

 

수학 천재 찰리는 과학 영재로 자라서 열세 살의 나이에 대학에 입학한 이래로 질시와 부러움, 견제와 존경을 한 몸에 받는 위치에 있지만, 형의 인정과 사랑을 받는 것만큼 중요한 일이 별로 없다. 수학 천재 찰리는 연필 하나만 있으면 된다는 수학의 세계와 속세 중에서도 인간의 가장 지저분한 치부를 망설임 없이 들여다보는 FBI에서의 일 사이를 오고 간다.

 

필즈 메달 수상을 거부하고 은둔하다시피 살고 있다는 러시아 수학자 페렐만, 완벽한 수학의 세계와 현실 세계 사이에서 분열을 일으켜버린 '뷰티풀 마인드'의 존 내시, 수학의 발전을 위해 어떤 수학자보다도 공동연구를 많이 하며 많은 사람과 어울리면서도 평생 결혼도 하지 않고 집도 절도 없이 살았던 수학계의 구루 폴 에어디시, 여러모로 '우리 수학자 모두는 약간 미친 겁니다'임을 증명해 보였던 폴 에어디시의 모습이 찰리의 모습에 당연하게도 불현듯 겹쳐질 때가 있다. 겉으로는 몹시 평범한 사람 같지만, 발명이 아니라 이미 우주에 널려 있는 수학적 진실의 발견을 업으로 삼고 사는 수학자의 고독과 괴짜 기질이 언뜻언뜻 드러나는 것이다.

 

크리에이터인 니콜라스 팔라치와 셔릴 휴튼은 첫 작품인 이 드라마로 과학에 대한 공공의 이해를 증진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칼 세이건 상을 수상했다. 미국 일선 수학교사들은 이 드라마를 교재 삼아 학생들의 흥미를 돋운다고도 한다. 그러고 보면 히트만 하면 워너비를 양산하는 미국 드라마의 세계에서 '넘버스'는 수학 공부하고 싶어 하는 아이들을 만들어낸 독특한 공적이 있다. 

 

우리 모두가 바라는 대로 '하느님의 책'에 드는 발견을 하며 수학적 천재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수학의 아름다움만큼은 확실히 맛보기를 해주게 하는 드라마, 바로 '넘버스'에서 우아하고 감상적인 수학의 세계를 만끽해보시길!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