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식스 피트 언더'

수사물이나 액션 드라마 혹은 이미 장르화된 '영매' 드라마 등에는 매회 죽음이 빠짐없이 등장한다. 하지만 그런 드라마들에서도 죽음 자체가 주제를 이루지는 못한다. 죽음을 주제로 기나긴 시리즈를 이어가는 드라마는 거의 전무하다고 보아도 될 듯하다. 그런데 가족 멜로드라마라고 할 수 있는 보편적인 장르에 블랙 코미디로 악센트를 준 후 전격적으로 죽음이라는 주제를 드라마의 전 영역에 채택한 파격이 있으니, 바로 HBO의 '식스 피트 언더'이다. 영화 '아메리칸 뷰티'의 각본을 쓴 앨런 볼이 일약 할리우드의 총아로 떠오른 후에 제작에 나섰던 드라마이다.

 

 

 

제목의 '식스 피트'는 봉분을 거의 두르지 않고 매장을 하는 미국 장례문화에서 관을 묻기 위해 땅을 파는 깊이라고 한다. 그게 왜 6피트냐는 의문에는, 그 이하면 곰이 냄새를 맡고 시신을 파헤칠 수 있다느니, 성인 남녀의 평균 신장을 조금 웃도는 높이가 사후세계의 자유를 만끽할 수 있는 망자에 대한 배려라느니 등의 여러 잡학전서적인 해석이 뒤따르지만, 따져 봐도 드라마의 흐름과는 그다지 관련이 없는 사정보에 불과할 뿐이니, 그냥 파이브, 세븐보다는 발음하기 편해서 그러지 않았겠느냐 정도로 얼버무릴 수도 있을 듯하다. (사실 드라마나 영화를 볼 때 그보다 더 궁금한 점은 땅 속에 관을 버튼 하나로 스르륵 내리는 방식이다).

 

 

 

'식스 피트 언더' 시즌2 프로모션 트레일러 'Heaven' by Lamb

 

여하튼 제목에서부터 상당히 노골적으로 죽음의 그림자를 드리우는 이 작품은 미국 드라마 "작가주의(자)"의 든든한 빽이자, 스크린쿼터라고나 할까, 그런 역할을 일찍이 했던 HBO의 후원이 없었더라면, 당시에 제아무리 잘 나가던 앨런 볼이라도 밀어붙이기 힘들었다 싶은 드라마임이 사실이다.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무대 또한 노골적으로 장의사 가족이 먹고 자는 장례식장이다. 한국에도 자영 장례업자들이 있겠지만, 사업 장소 위층에 버젓하게 살림을 차려놓은 곳은 찾아보기 힘들다. 미국의 마을을 방문해본 사람이라면 동네마다 몇 개씩 있는 가정집형 장례식장을 보고 낯선 느낌을 누구라도 받았을 것이다. 예전에 영화 '마이 걸'을 보고, 미국에는 장례식장을 저런 식으로도 하는구나, 하는 것은 알았지만, 사실 지하에 방부처리와 복원작업을 기다리고 있는 시신이 있는데, 위에는 가정집을 꾸미고 산다는 것이 아무리 적게 쳐도 으스스한 기분은 들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식스 피트 언더' 시즌3 프로모션 트레일러 'A Ruch of Blood to the Head' by Coldplay

 

 

아직도 왜 미국의 많은 장례업자들이 집을 사업처로(혹은 사업처를 집으로) 삼는지, 그 이유는 여전히 의아하다. 다만 죽음은 인생에서 가장 치명적인 상처를 주는 일의 하나이면서도, 동시에 인생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것 중 하나니까, 위에 장의사의 살림집이 있다 한들 대수롭지 않다 싶기도 하다. 

 

허나 그런 집에 식솔로 딸려 살아가는 사람들은 어떨까. 무엇이든 직업적으로 하면 내성이 생기기가 쉽다. 그래서 죽음에 관한 어떠한 사연도, 아무리 처참한 시신도 내성에 보태어 프로페셔널리즘에 의지하여 덤덤하게 받아들이면, 생계를 위해 하는 여느 일과 다름없을 것이다. 그런데 '식스 피트 언더'는 죽음이 주는 의문은 누구보다 뻔히 알면서도 극복하지 못하고, 마조히스트가 되기를 자처하는 장의사들의 이야기다.

 

 

 

'식스 피트 언더' 시즌4 프로모션 트레일러 'Feeling Good' by Nina Simone

 

 

피셔 장례식장의 주인이었던 너새니얼 피셔의 죽음은 피셔 가의 새로운 시작을 알린다. 죽은 너새니얼이 아내나 자식들에게 딱히 억압적이었던 것도 아닌데, 사실은 자기도 답답해서 살아생전에 별별 비밀을 다 만들며 숨통을 풀고 다녔는데, 그의 죽음으로 이 가족의 연대기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둘째 아들 데이빗은 그가 죽기 전에는 자기가 게이라는 사실을 밝히지 못했다. 어영부영 또래에 휩쓸려 다니던 막내딸 클레어는 삶의 목적이라고는 딱히 찾아볼 수 없는 전형적인 미국의 불평불만투성이 십대였으며, 세 자녀의 어머니인 루스 피셔는 한가하지만 답답한 전업주부의 전형에 더도 덜도 아니었다. 그리고 열일곱 살에 집을 떠난 큰아들 네이트는 진정한 사랑을 찾아헤매는 피셔가의 이방인이었다. 드라마는 큰아들 네이트가 인생의 서른다섯 번째 크리스마스를 보내기 위해 집으로 향하고, 아버지 너새니얼이 버스에 치어 죽으면서 시작된다.

 

 

 

'식스 피트 언더' 시즌5 프로모션 트레일러 'Breathe Me' by Sia Fuller 

 

 

 '식스 피트 언더'는  죽음을 일상적으로 다루면서도 비교적 잔잔하게 극을 조율해 나간다. 파일럿 에피소드에서 설정된 너새니얼 피셔의 교통사고 장면을 빼고는 비명을 내지를 만큼 압도적인 카메라 워크 하나 찾아볼 수 없다. 드라마는 시종일관 아버지의 죽음을 맞아 자의로 타의로 변화해 갈 수밖에 없는 피셔가의 내면을 그리는 것에만 몰입한다. 간혹 상식을 깨는 설정으로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이 등장하곤 하지만, 그저 장치에 불과할 뿐, 이내 카메라의 시선은 화이트 디졸브와 함께 피셔가의 일상으로 이동하는 데 주력한다.

 

심지어 '식스 피트 언더'에는 장례식과 더불어 에피소드 하나를 깔끔하게 마무리 해주는 미덕조차 없을 뿐더러, 요즘 드라마에서 짓궂다 싶은 만큼 악의적으로 반복되는 그 흔한 클리프행어 엔딩조차 없다. 쉽게 갈 수 있는 숱한 대중적 장치를 마다하고 외골수로 일관했던 드라마라고 할까.

 

이 드라마에서는 이승의 삶을 다한 사람이 아웃되지 않고, 살아남은 자의 내면을 그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등장한다. 그런 판타지적 요소가 이 드라마의 스타일을 강화하면서, 매니아층을 낳는 것일 수도 있다.

 

 

 

 

'식스 피트 언더'가 꿋꿋하게 다섯 시즌을 엮어가며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아메리칸 뷰티'에서는 이야기의 끝이었던 해체된 가족을 이야기의 출발점으로 설정한 것과 더불어, 미국 드라마로서는 보기 드물게 등장인물들의 감정을 강하게 폭발시키면서 캐릭터를 만들어나가는 점이다. '식스 피트 언더'가 정말로 특이한 점은 종종 등장하는 판타지적 장치라기보다는 바로 그 점이다.

 

미국 드라마는 캐릭터가 감정의 결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것은 거의 악덕이라고 여기지 않나 싶을 만큼(소프 오페라는 진지하기보다는 우스꽝스럽게 받아들여진다) 극도로 자제하는 문화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식스 피트 언더'는 마치 축제라도 벌이듯 인물들이 겪는 감정의 소용돌이를 분방하게 분출한다. 그래서 장례식은 산 자를 위한 것이며, 어떤 소설은 축제라고 표현했을 것이다.

 

사람들이 자기를 함부로 대한다는 '발닦개 이슈'가 있는 데이빗과, 남편 사후 부족했던 자식들의 사랑을 원망하며, 그리고 한편으로는 연애사업도 만끽하며, 사랑을 주는 만큼 받지 못하여 늘 울분에 차 있는 귀엽고 고운 피셔가의 엄마 루스, 피셔가의 사람으로서는 감정에 가장 개방적이며 남을 돕고 싶어하는 마음과 자신의 행복을 지키고 싶은 마음, 뒤늦게 빠진 사랑의 수수께끼에 천진하게 괴로워하는 큰 아들 네이트, 막 나가는 십대의 아슬아슬한 경계를 넘어 사랑스러움을 되찾아나가는 막내 클레어가 일구어가는 피셔 가의 이야기 '식스 피트 언더'는 미국 현지에서 방영 이후 장례업을 지원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크게 늘었다는 후일담도 있다.

 

2001년 6월 3일 HBO를 통해서 첫 방송을 내보낸 이후 2005년 8월 21일 시리즈를 종영할 때까지 방송, 음악, 책 등의 다종다양한 문화 영역에서 팬층을 일구어냈던 '식스 피트 언더'는 2002년 프라임 타임 에미상에서 11개 주요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어, 애런 볼의 감독상을 포함해서 두 개 부문에 수상을 하였다.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시리즈 피날레로 기록되는 HBO '식스 피트 언더' 시리즈 피날레 

 

콜드 플레이, 니나 시몬, 시아 풀러 등의 곡이 어우러진 '식스 피트 언더'의 매시즌 프로모션 트레일러는, 트레일러 그 자체가 하나의 작품으로 인정될 정도의 예술적 팬덤을 형성했으며, '식스 피트 언더'의 시리즈 피날레 에피소드인 'Everyone's Waiting'은 또 하나의 완성된 드라마 시리즈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치명적인 완결미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